의료진 썸네일형 리스트형 '임플란트 10대 합병증' 해법찾기 시작됐다 올해로 4회째를 맞는 (주)신흥의 임플란트 국제심포지엄 ‘SID 2013(SHINHUNG IMPLANT DENTISTRY 2013)’이 사전등록을 시작했다. 오는 9월1일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되는 SID 2013은 ‘대한민국 임플란트 10대 합병증’을 대주제로 정했다. 10가지 합병증 해결사를 자처하는 임플란트 고수들이 총 출동해 심도 있는 해결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 '2012 SHINHUNG IMPLANT DENTISTRY' 강연장 모습. 지난 1월 조규성 교수(연세대치과병원장)를 위원장으로 11명의 SID 2013 조직위원회가 구성됐다. 구기태 교수(서울대 치주과), 권용대 교수(경희대 구강외과), 김도영 원장(김앤전치과), 김선영 원장(수플란트치과), 김선종 교수(이대목.. 더보기 임플란트가 흔들려요, 임플란트가 빠졌어요? 임플란트 치료는 여러 가지 이유로 상실된 치아의 기능회복을 위해 매우 좋은 치료임에 틀림이 없으며, 그 사용도 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시술의 증가는 임플란트 치료 후 환자와 치과의사를 괴롭히는 합병증이나 문제들의 증가도 동반하고 있다.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보철물을 연결하는 구조물인 지대주(abutment)와 지대주나사(abutment screw)와 관련된 문제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지대주 나사 풀림 2. 지대주 나사 파절 및 변형 3. 지대주파절 4. 지대주에 의한 임플란트 변형 5. 세라믹 지대주의 파절 6. 보철물의 탈락 7. 기타 먼저 임플란트와보철물을 연결하는 가장 작은 구조물인 지대주 나사에 대부분의 힘이 집중되며, 이로 인해 기본적으로 나사가 잠겨 있으려는 힘인 Clamp.. 더보기 스마트치과 고난이도 임플란트 시술에 자신감을! GAO가 주최한 ‘GAO 4th ALIS Course’가 지난 27일 1회 강의를 시작했다. 내년 2월 말까지 총 6회차로 진행되는 이번 세미나는 허영구 원장이 Director를 담당한다. 오전 10시부터 시작된 1회차 강의는 ‘어렵지 않은 Sinus Graft’를 대주제로 김종엽원장이 강의와 실습을 진행했다. 첫 시간으로는 ‘Sinus Crestal Approach’와 ‘신개념의 Lateral Sinus Graft’를 주제로 강의가 이루어졌다. 강의 뒤에는 ‘Sinus Lift’에 대한 Hands-on이 진행되었다. GAO의 ALIS Course는 임플란트 고급수술과정으로 고난이도 임플란트 시술에 필요한 핵심적인 강의와 다양한 Case의 간접실습을 통해 자신감을 배양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임상에.. 더보기 스마트치과의 임플란트 정보 (Internal SCRP 바로 알기) 이제 치과용 임플란트(이하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료는 더 이상 특별하지 않게 여겨질 만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초기 임플란트 치료가 골 형성 또는 골재생에 중심을 두었다면, 차차 보철물의 심미적인 부분에 더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임플란트 치료가 일반화되면서 앞으로 치과의사들은 기존 임플란트와 임플란트 보철물의 유지, 관리, 보수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보철물의 제작과 시적 까지는 시멘트 유지형처럼 하고 접착 이후에는 나사 유지형처럼 할 수 있는 형태 즉 SCRP 형태의 보철방식이 다시금 각광받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 그림 1. Internal 임플란트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지대주의 모양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실제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작할 때 많은 오차들이 있으며, 잘 제작된 경우라.. 더보기 네비게이션 임플란트 (스마트가이드) 강연 지난 2013년 4월 13일 '2013 네이바이오텍 국제 심포지엄'에서 "정밀 수술 유도장치와 수술전 디지털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보철물을 이용한 임플란트 즉시부하"라는 제목으로 스마트치과 김종엽 원장님의 강연이 있었습니다. 스마트치과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CT 모의수술을 통해 만들어진 스마트치과의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임플란트 식립은 물론 이를 이용하여 사전에 CAD/CAM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보철물로 수술 직후 바로 치아를 연결하는 내용에 대한 강연입니다. 여러 국가에서 참석하여 많은 치과의사들에게 앞선 스마트치과의 임플란트 치료과정을 소개하고 토의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네비게이션 임플란트라 불리는 "스마트가이드"란? 네비게이션은 자동차를 목적지까지 안전한 방향으로 안내해주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더보기 인플란트부작용 피해사례 증가 지난 5월 15일 MBC 에서는 임플란트 시술에 대한 부작용에 대해 방송을 하였습니다. 턱뼈에 인공치아를 심는 임플란트 시술은 인구 만명 당 시술 인구가 세계 최고수준에 이르렀지만, 임플란트 시술이 늘어나는 만큼 그 부작용에 대한 사례들도 함께 늘어나고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임플란트 시술 부작용과 관련한 소비자 상담건수는 2008년 487건에서 2011년 1,262여 건으로 급증했습니다. 이날 방송에서는 임플란트부작용으로 고통받고 있는 사례자들을 만나 부작용의 심각성과 위험성을 알아보았습니다. 임플란트부작용으로 고통받는 사례자들은 임플란트 시술 후 감각이상과 만성 염증 치주염 때문에 먹는 것이 힘들어 하루하루 고통을 받으며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또한 다른 사례자는 임플란트 시술이 잘못되어 상악.. 더보기 스마트치과 아이테로를 이용한 보철물치료 최근 보철물 제작은 디지털화 된 방식으로 디지털인상장치를 사용하여 환자의 치아 모양을 스캔하고, CAD/CAM 방식의 프로그램을 이용한다. 하지만, 디지털인상장치가 제조사마다 스캔방식과 사용 후 데이터의 적용방법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모든 디지털인상장치를 비교하는 것은 어렵다. 이 글에서는 대표적인 구강내 디지털인상 장치 중 하나인 미국 Cadent사의 i-Tero(아이테로)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전통적인 방식의 보철 제작 VS 디지털인상장치 i-Tero(아이테로) 일반적으로 치아를 삭제한 후, 전통적인 방식으로 보철물을 제작할 경우, 치아의 모양을 뜨고 다시 석고모형으로 제작 등의 과정을 거쳐왔다. 하지만 기공실에서 CAD/CAM 장비를 사용하면 치아 삭제 후 디지털인상장치를 통해 모형없이 스캔한 이.. 더보기 스마트치과 칼럼 틀니주의사항 가장 흔한 치과관련 질환 중 하나인 치주병(잇몸병), 치아 우식증(충치)과 관련하여 치아를 빼게 된 분들이 많고, 그 중 또 많은 분들은 틀니, 브릿지, 임플란트 등의 치료를 받았다. 가까운 일본에서 20개의 치아를 80세까지 유지하자는 캠페인이 있었던 것을 보면 우리도 오랫동안 건강한 내 치아를 유지하고 보존하는 노력이 절실히 필요할 때라는 생각이 든다. 이가 하나도 남지 않은 경우는 물론 여러 개의 치아를 상실했을 때 사용하게 되는 틀니, 사회적인 활동이 많은 분들은 꼈다 뺐다를 반복하며 혹시 대중 앞에서 틀니가 떨어질까 걱정하는 분들이 많다. 그래서인지 최근 각광 받고 있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료를 많이 받고 있다. 과연 모든 틀니가 나쁜 것인가? 그렇지 않다. 오히려 잘 만들어진 틀니는 건강한 씹.. 더보기 스마트치과 김종엽 원장 “디렉터로서의 임상교육은 오히려 제가 성장하는 발판이죠!” 김종엽 원장(스마트치과의원)은 글로벌임플란트연구회(이하 GAO)의 창립 멤버다. 2008년 당시 미국 보스톤대학교에서 임상교수로 재직 중이었던 김 원장은 허영구 회장의 제안으로 GAO에 합류하게 되었다. 현재 GAO에서 디렉터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그는 “여러 선생들에게 임상에서 얻은 지식을 나누어줄 수 있다는 것은 즐거운 일”이라며 “그 소통 과정은 내 사고를 넓히는 등 자기발전의 계기가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원장은 GAOB 모임의 총책임자이기도 하다. GAOB 모임은 다른 모임과 달리 자신이 듣고 싶은 강의 주제를 신청하면 두 달 안에 그 강의를 들을 수 있다. 특히 GAOB 모임은 30여 명 정도로 운영되는 소모임이기 때문에 의견 .. 더보기 [스마트치과]김종엽원장 네오바이오텍 심포지엄 참가 및 발표 [스마트치과]김종엽원장 네오바이오텍 심포지엄 참가 및 발표 스마트치과 김종엽 원장님은 지난 2012년 4월 15일 세종대학교 광개토관에서 있었던 네어바이오텍 415 심포지엄에 참가 및 강연하였습니다. 오전에는 기공사를 대상으로 ' CAD/CAM으로 소통하기' 를 오후에는 치과의사 대상으로 "CAD/CAM 도전과 한계'에 대해 각각 강연하였습니다. 이런 학술활동을 계기로 더 나아지는 스마트치과가 될수있도록 계속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AD/CAM 이란?? [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 ] 설비, 기기 등 물건을 만들 때 만들고 싶은 물건의 설계를 하고 제조에 필요한 정보를 도면화하여 그 도면에 따라 가공조립하는 것입니다. CAD라는 약.. 더보기 이전 1 ···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