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한번쯤 어렸을 때 흔들리는 치아를 뽑아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이는 영구치가 젖니를 밀고 올라오면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흔들리는 치아가 영구치라면 문제가 심각해지게 됩니다.
치아는 음식섭취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기 때문에 치아를 상실하고 나면, 음식물 섭취가 어려워지고 발음이 부정확해지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아는 영구치가 자란 뒤에는 다시 자라거나 재생되지 않는 유일한 조직이므로, 한번 상하게 되면 그에 따른 치료도 커지게 됩니다.
어금니가 흔들려요, 어떤 치료가 필요하나요?
영구치아가 흔들리는 겨우, 가장 먼저 정확한 진단을 해야 합니다. 흔들리는 모든 치아를 빼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치근(치아뿌리)부분이 1/3 이상 남아있고, 치아의 흔들림이 심하지 않다면, 발치를 하지 않고 다른 치료로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너무 치아가 많이 흔들려 치료가 불가능할 정도라면, 치아를 발치하고 임플란트 시술을 해야 합니다. 따라서 개개인마다 치아의 건강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정확하 감별할 수 있는 진단과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어금니가 흔들려요, 치료를 미루게 된다면?
흔들리는 치아를 오래 방치할 경우 염증 때문에 주위의 잇몸뼈를 녹이는 동시에 인접한 치아에 염증을 파급시켜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잇몸뼈가 많이 흡수된 상태에서 발치를 할 경우, 임플란트 시술을 하려고 해도, 뼈가 모자라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데 어려움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머지않아 발치해야 하는 치아를 불편함을 감수하고 사용하기 보다는, 잇몸뼈가 조금이라도 더 남아있을 때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 것이 좋으며, 미리 조기에 치료를 하는 것이 치료 시간이나 비용도 줄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어금니가 흔들려요, 임플란트 시술이 필요한 경우, 어금니임플란트 특징
어금니는 음식을 씹어야 하는 기능 때문에 강한 힘을 받습니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시, 보철물이 튼튼한 소재를 사용해야 하며, 잇몸에서 신경선과의 거리가 짧으므로 임플란트 시술 시 더 주의를 해야 합니다.
또한 다른 치아와의 간격이 멀게 심게 될 경우 음식물이 끼기 쉬우며, 너무 가깝게 심게 도리 경우 어금니에 무리를 줄 수 있어 간격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 밖에도 치아의 맞물림도 고려하며 임플란트 시술을 해야 합니다.
어금니임플란트 시술 전, 정확한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
임플란트는 잇몸뼈에 인공뿌리를 심어 음식물을 씹는 힘이 자연치아와 동일하며, 자연스러운 색상, 모양 및 크기 등을 맞추어 상실한 치아를 대신하는 인공치아입니다. 임플란트는 고도의 의술을 필요로 하는 만큼 의사의 시술경력은 임플란트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며, 환자의 안전과 성공적인 수술 및 치료를 위해 3D-CT를 통해 정밀한 사전 수술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또한 뼈속까지 들여다보는 3차원 입체영상을 만들어주는 치과전용 소프트웨어 아나토마지 가이드를 사용하면, 임플란트 수술 전 임플란트 위치르 결정하며 미리 심어볼 수 있어 좀 더 정밀하고 안전한 임플란트 수술을 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치과의 임플란트 노하우
- 미국 보스톤대학교 전문의 과정을 수석 졸업하고, 다양한 임상경험의 의료진에게 수술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스마트치과는 다양한 방법의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수술 프로그램과 보철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총 치료기간의 예상이 가능합니다.
- 디지털 인상장치 iTero 및 3D-CT + 가상시술이 가능한 아나토마지 등의 첨단 장비를 통해 보다 정확한 진단 및 정밀한 보철물 제작이 가능합니다.
- 임상적으로 널리 안정이 증명된 부품과 재료 사용으로 안전합니다.
- 자체 임플란트 치과 기공실을 운영하여 신속하고 높은 Quality의 보철물을 제작합니다.
'임플란트 클리닉 > 임플란트 수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플란트주위염 임플란트염증 (0) | 2013.04.17 |
---|---|
인플란트가격 걱정된다면? 임플란트틀니로 (0) | 2013.04.16 |
앞니임플란트 기간 단축, 발치후 임플란트 (0) | 2013.04.12 |
임플란트 후 흡연, 임플란트 담배 (0) | 2013.04.12 |
앞이빨 임플란트 앞니 임플란트 비용 (0) | 2013.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