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가 대중화됨에 따라서 많은 분들이 임플란트 시술을 받고 계시지만, 임플란트 수술을 받은 환자 10명 중 1~2명 정도는 임플란트 부작용으로 인한 임플란트재수술을 받아야 한다고 합니다. 임플란트 시술은 개인에 따라 시술 방법이 달라지므로, 환자의 잇몸과 치아 상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임플란트 계획을 세우게 되면, 임플란트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인플란트 부작용, 어떤 것들이 있을까?
한국 소비자원에 접수된 임플란트 부작용 원인(2010년~2012년 5월)에 따르면 임플란트 부작용으로는 신경손상으로 인한 감각이상, 임플란트 주위염, 보철물 탈락 및 파손, 유착실패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임플란트 실패 원인은 치과의사의 숙련도 부족, 임플란트 재료 자체의 문제, 환자의 관리 소홀 등으로 나뉘어 볼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치과의사의 숙련도 부족으로 인한 실패가 81%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인플란트 부작용, 예방하기 위해서는?
임플란트 부작용으로 인한 임플란트 재수술을 받지 않으려면 다양한 임상경험으로 숙련된 의사인지, 첨단장비를 보유하고 다양한 임플란트 수술 + 보철 프로그램의 노하우가 오랜기간 축적된 병원의 시스템인지를 꼼꼼히 따져보고 결정하여야 합니다.
인플란트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한 스마트치과의 노하우
1. 3D-CT, 아나토마지 가이드 시스템 등의 최첨단 장비로 정확한 시술 계획 수립
임플란트는 잇몸뼈에 정확하게 심어야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으며, 임플란트 수명을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 잘못된 각도로 심을 경우 임플란트가 흔들리고, 씹을 때 일부에만 과도한 힘이 가해져 빨리 망가지게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임플란트를 정확하게 심기 위해서는 정확한 진단과 수술계획을 잡기 위한 임플란트 검사 장비가 갖추어져 있어야 합니다. 스마트치과에서는 3D-CT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며, 3D 데이터를 기반으로 임플란트 시술 전 임플란트를 미리 심어볼 수 있는 아나토마지 가이드 시스템을 통해 보다 정확한 임플란트 시술이 가능합니다.
2. 보스톤대학 보철과 수석 졸업, 풍부한 임상경험의 의료진
임플란트 수술은 국내외 치과의를 대상으로 한 임플란트 학회 및 세미나 등에서 임플란트 강의를 하는 임플란트 권위자, 김종엽 원장이 풍부한 임상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환자 개개인의 구강상태에 따른 적합한 임플란트 수술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3. 자체기공실 운영, 정밀한 보철물 제작
치과 기공실이 외부에 있을 경우 작은 문제까지도 외부에 의뢰해야 하기 때문에 환자의 치료 기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스마트치과는 자체 기공실을 운영하여 필요한 대부분의 작업이 병원 내부에서 전문 인력에 의해 이루어져 치료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정밀한 보철물 제작이 가능합니다.
4. 철저한 사후관리와 위생
임플란트 시술 후 정기체크 및 음주, 흡연 조절 등의 사후관리는 임플란트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필수요소 입니다. 스마트치과에서는 임플란트 검진 시 임플란트 주위에 염증이 생겼는지를 비록하여 치석이 쌓였는지, 인공뿌리와 치아 연결하는 나사가 풀리진 않았는지, 씹는 힘은 제대로 받는지 등을 전체적으로 검진합니다. 또한 원내 교차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기구들을 과하게 소독합니다.
스마트치과의 임플란트 진행 절차
STEP1. 3D-CT + iTero(아이테로) + Anatomage(아나토마지) 시스템을 이용한 정확한 진단
STEP2. 치료 계획 수립 + 가상 수술
STEP3. 최소절개를 통한 임플란트 식립
STEP4. 자연스러운 형태의 색 및 추후 관리를 고려한 보철물 제작
스마트치과의 임플란트 시술비용 알아보기 : http://www.smart-dental.co.kr/
'임플란트 클리닉 > 임플란트 수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플란트가격 보다 중요한 것은? (0) | 2013.02.28 |
---|---|
네비게이션 임플란트 가이드란? (0) | 2013.02.27 |
임플란트수명, 결정짓는 요소들 (0) | 2013.02.25 |
인플란트가격 차이나는 이유는? (0) | 2013.02.25 |
임플란트 치료기간을 줄여주는 즉시임플란트 (0) | 2013.02.21 |